평소 여성, 남성 질환에 관심이 많은 미혼분들이나 임신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 부모님들 중 ‘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’에 대해 들어보셨나요? 2025년부터 이 사업이 대폭 확대되어 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 오늘은 이 지원사업의 대상, 지원내용, 신청방법 등을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.
✅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?
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준비할 수 있도록 정부가 검사비를 지원해주는 국가 정책입니다. 기존에는 난임 부부나 임신 계획이 있는 일부 여성만 해당됐지만 2025년부터는 전국의 20~49세 모든 가임기 남녀로 대상이 확대되었습니다.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!
✔️ 자녀가 없어도 OK
✔️ 결혼하지 않아도 OK
✔️ 내국인 배우자가 있는 외국인도 OK
✅ 지원 대상 및 조건?
- 연령 기준 : 만 20세~49세 모든 남녀 (가임기)
- 추가대상 : 15~19세 부부도 가능
- 국적 조건 : 내국인, 또는 내국인 배우자가 있는 외국인
주기별 최대 3회까지 지원 가능! 각 주기별로 한 번씩 신청할 수 있습니다.
1️⃣ 29세 이하
2️⃣ 30~34세3️⃣ 35~49세
✅ 지원 내용 검사항목?
여성 검사 항목 :
- 난소기능검사(AMH 검사)
- 부인과 초음파 검사 (자궁, 난소 상태 확인)
남성 검사 항목 :
- 정액검사 (정자정밀형태검사 포함)
✔️ 지원금액 :
- 여성: 최대 13만원
- 남성: 최대 5만원
병원에 따라 검사비가 다를 수 있습니다. (초과 시 차액은 본인 부담)
✅ 신청 방법?
1) 온라인 신청 :
-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접속 → 의료비 지원 →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선택
2) 방문 신청 :
- 거주지 관할 보건소 방문
✅ 준비 서류?
온라인 신청 시 :
- 별도 서류 필요 없음
보건소 방문 시 :
- 신청서
- 주민등록등본 또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서
-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
외국인 신청자의 경우 추가 서류 :
- 외국인등록사실증명서
- 내국인 배우자의 주민등록등본
- 혼인관계 증명서 또는 청첩장(필요 시)
검사비 청구 시:
- 검사비 청구서
- 영수증, 진료비 세부내역서
- 본인 명의 통장사본
✅ 신청 후 과정?
- 신청 승인 후 ‘검사의뢰서’ 발급
- 발급일로부터 3개월 이내 검사
- 검사 후 1개월 이내에 검사비 청구
e보건소 마이페이지에서 의뢰서를 바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. 보건소에서 직접 신청한 경우는 현장에서 수령.
✅ 자주 묻는 질문 Q&A
Q. 임신 계획이 없어도 신청 가능한가요?
A1. 네! 가임기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. 내 몸 상태를 미리 점검하세요.
Q. 남성도 신청 가능한가요?
A. 남성도 정액검사에 대해 최대 5만원까지 지원됩니다.
Q. 외국인도 신청할 수 있나요?
A. 내국인 배우자가 있는 외국인은 가능합니다.
Q. 연령별 지원은 어떻게 되나요?
A. 각 연령 주기별 1회~ 총 3회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.
Q. 검사 후 바로 비용 청구 가능한가요?
A. 검사 후 1개월 이내에 청구하시면 됩니다.
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한 첫걸음! 2025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을 통해 내 건강상태를 미리 체크하고 걱정 없이 예쁜 아기를 맞이할 준비 해보시는거 어떠신가요? 가까운 보건소나 e보건소 홈페이지에서 지금 바로 확인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😊
'Entry > F♥r u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난임 지원 정책|시술비, 검사비, 휴가 혜택까지 한눈에 알아보기 (2) | 2025.06.26 |
---|---|
놓치지 마세요, 2025 무료 임신축하박스 신청하기 (0) | 2025.06.24 |
아동수당 확대부터 부모 출산휴가 20일까지! 2025년 달라지는 육아정책 총정리 (3) | 2025.06.23 |
2025년부터 제왕절개도 무조건 무료! 임신, 출산 비용 부담 확 줄었습니다 (6) | 2025.06.12 |
임신 중 튼살과 임신소양증은 어떻게 달라요? 차이점과 관리방법 (3) | 2025.06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