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ntry/F♥r us

제대혈 보관 완벽 가이드: 공공 vs 민간, 비용부터 활용까지

서로화 Seorohwa 2025. 5. 8. 11:30
반응형

사진 : @The Bump

 

제대혈 보관은 출산 시 아기의 탯줄에서 채취한 혈액(제대혈)을 냉동 보관해 두었다가 미래에 질병 치료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죠. 최근에는 소아 백혈병, 면역질환, 희귀 유전병 등 다양한 치료 사례가 늘어나면서 임신부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선택지 중 하나예요.


제대혈이란?

 

'제대혈(탯줄혈액)' 은 아기와 태반을 잇는 탯줄 안의 혈액으로 조혈모세포가 풍부하게 들어 있어요. 이 조혈모세포는 혈액세포, 면역세포 등으로 분화할 수 있어 다양한 질병의 치료에 쓰여요.

제대혈의 활용 분야
  • 소아 백혈병
  • 악성 림프종
  • 골수이형성증후군
  • 선천성 면역결핍증
  • 유전성 대사질환
  • 뇌성마비자폐 스펙트럼 장애 (임상 시험 중)
제대혈 보관 방법

1. 공공 제대혈 은행 (무료 기증)

  • 제대혈을 국가에 기증하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보관돼요.
  • 내가 기증한 제대혈이 나중에 다시 필요하더라도 이미 사용됐을 가능성이 있어요.
  • 비용 부담이 없고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좋은 기부 방법이에요.

2. 민간 제대혈 은행 (개인 보관)

  • 제대혈을 개인 자산처럼 유료로 보관하는 방식이에요.
  • 가족이나 본인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하게 냉동 저장돼요.
  • 비용이 발생하지만 보관 권한은 온전히 가족에게 있어요.
민간 제대혈 보관 비용
  • 초기 등록비 : 약 60만 ~ 100만 원
  • 보관 기간별 요금 (예시)
    • 15년 : 약 150만 ~ 200만 원
    • 평생 보관 : 300만 원 이상
  • 분납, 카드할부 등 다양한 결제 옵션 가능

※ 제대혈 보관 업체마다 비용과 서비스 조건이 다르므로 꼼꼼히 비교해야 해요.

제대혈 보관 시 고려할 점
  1. 업체의 신뢰성 확인 : 보건복지부 인증, 제대혈은행협회(KCBBA) 등록 여부, 시설 안전성 및 관리 방식
  2. 보관 기간 : 15년, 30년, 평생 등 선택 가능, 아이가 성인이 될 때까지는 최소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
  3. 가족력 유무 : 가족 중 혈액암, 면역 질환, 유전병 이력이 있다면 보관을 더욱 권장
  4. 이중 보관 여부 : 일부 업체는 본사와 외부 저장소 두 곳에 보관하여 안전성을 높이기도 해요
제대혈 채취 시기
  • 출산 직후 탯줄을 자르기 전 또는 자른 직후 채혈
  • 출산 예정 병원에서 제대혈 보관 계약서 작성 → 제대혈 키트 배송 → 병원에 전달
제대혈 보관, 누구에게 추천될까?
  • 자녀의 건강 미래를 위해 장기적인 대비를 하고 싶은 부모
  • 가족력으로 인해 질병 가능성을 대비하고자 하는 가정
  • 신생아 건강에 대해 안전망을 두고 싶은 분들
제대혈 보관의 한계 
  1. 실제로 사용될 확률은 아직 낮음 : 자가 사용의 경우, 일부 질환에는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요 (예: 유전적 질환).
  2. 보관 비용이 부담될 수 있음 : 초기 수십만 원에서 최대 수백만 원까지 드는 만큼 경제적인 고민이 따를 수 있어요.
  3. 공공 제대혈 은행도 있음 : 기증을 통해 사회적으로도 의미 있는 선택이 가능하고, 국가를 통해 필요한 사람에게 제공돼요.

반응형

 

반응형